오늘은 자연환경이 아름다운 노르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나의목차]]
스칸디나비아산맥으로 이루어진 노르웨이
노르웨이 국토의 대부분이 스칸디나비아산맥의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남부 여러 하천 연안에 나타나는 폭이 좁은 평지 이외에는 평야가 거의 없습니다. 스칸디나비아 산지는 실루리아기(紀) 말의 칼레도니아조산운동에 의해 심한 습곡을 받은 뒤 침식에 의해 준평원화(準平原化)된 다음, 다시 중생대 말에서 제3기에 걸쳐 일어난 알프스히말라야조산운동의 여파를 받아서 융기하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 현재의 스칸디나비아 산지는 1,000∼2,000m의 고원으로서 곳곳에 잔구가 나타나는 지형을 이룹니다.
그 중 가장 높은 산지는 남부의 요툰헤이멘 산군(山群)으로 최고점은 갈회피겐산(2,468m)입니다. 제4기의 빙기(氷期)에 나타난 북부 유럽의 넓은 빙상(氷床)이 스칸디나비아 융기 준평원을 침식해서 수많은 와지(窪地)와 깊은 U자곡(字谷)이 형성되었습니다. 와지는 호수를 이루었습니다. 그 후 빙상의 후퇴와 U자곡의 일부에 깊이 파고든 바닷물의 침입으로 피오르[峽灣]가 형성됨으로써 해안선이 아주 복잡한 피오르 해안이 만들어졌습니다.
피오르 중 가장 긴 송네피오르는 연장 185km에 달하고, 그와 같은 피오르가 노르웨이의 전 해안에 걸쳐 발달했므로 노르웨이의 해안선 총연장은 지구 둘레의 약 반에 해당하는 2만km에 달합니다. 피오르는 항만으로 이용되는 외에, 높이 수백 미터에 달하는 양안의 절벽이나 강물이 폭포가 되어 낙하하는 현곡(縣谷)의 웅대한 경관 등에 의해 관광지를 이루고 있습니다.
노르웨이의 기후
서해안에 있는 베르겐의 기온은 2월 평균기온 1.3℃, 7월 평균기온 15℃이고, 연강수량은 베르겐에서 1,958mm, 동부의 오슬로에서 832mm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적설기간은 남서 연안에서는 30일 정도, 북부의 핀마르크 지방에서는 6개월 이상입니다. 여름과 겨울의 낮과 밤의 길이차가 크며, 특히나 북부 노르웨이에서는 여름에 백야(白夜) 현상이 나타납니다. 국토의 대부분이 산지인데도 고산지대에서는 툰드라를 이루는 곳이 많므로 삼림 면적은 전 국토의 27% 정도이며, 중부·남부에는 침엽수림이, 북부에는 한대낙엽수림이 분포합니다. 경지는 전국토의 3%에 불과합니다.
국토가 고위도 지역에 있으나 연안을 북상해서 북극해까지 미치는 북대서양해류(멕시코만류의 연장)의 영향으로 기후는 비교적 온화합니다. 그러나 해안에서 산지에 걸친 기온변화가 현저하여, 서쪽 해안부는 여름에 서늘하고 겨울에 온화한 데 반해서 동부 산지로 들어갈수록 기온의 계절차가 격심하며, 강수량도 남서 해안부에 가장 많고, 북쪽 및 내륙으로 갈수록 적습니다.
산지에는 빙하(氷河)가 남아 있는데, 요툰헤이멘산지 서쪽에 있는 요스테달스브레빙하는 유럽대륙에 잔존하는 최대의 빙하로, 면적은 1,000㎢를 넘습니다. 스카게라크해협으로 흘러드는 글로마강(江)·로겐강(江) 외에는 장대한 강이 없으나, 모든 강이 계단상의 지형을 급류를 이루어 흐르므로 수력개발에 적합해서 노르웨이는 세계적인 수력발전국입니다.
'유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가리아의 지형과 자연환경 (0) | 2023.02.28 |
---|---|
비극 문화를 대표적인 그리스 (0) | 2023.02.28 |
인공조림지를 가진 덴마크의 문화와 기후 (0) | 2023.02.28 |
덴마크의 지질과 지형 이야기 (1) | 2023.02.28 |
경제 활동으로 알아보는 네덜란드 (0) | 2023.0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