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럽

유명한 운하 시스템을 갖춘 네덜란드

by 이슈진 2023. 2. 28.

네덜란드 하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튤립, 거대한 운하, 풍차 등 여러 가지가 떠오르게 됩니다. 오늘은 인공지형을 갖춘 네덜란드의 운하시스템과 기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나의목차]]

 

 

인공지형을 갖춘 네덜란드


광대한 댐과 제방 시스템으로 유명한 네덜란드는 이미 수세기 전부터 댐과 제방이 건설될 정도로 건설 쪽에 관심이 많은 나라입니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곳은 오스터스켈트댐(Oosterschelde Dam)과 아프슬라위트다이크(:Afsluitdijk)입니다. 네덜란드의 지리적 특성상 바다에서의 넓은 땅을 회수해서 경작할 수 있도록 했으며 해안선을 안정시키기 위해 건설되었습니다.


아프슬라위트다이크(Afsluitdijk)는 바닥에서 긁어낸 표석점토(漂石粘土)를 퇴적시킨 후, 점차 모래, 점토, 현무암, 버드나무 등으로 엮은 매트를 채워 넣어 만들었습니다. 네덜란드에서 가장 크고 유명한 제방으로 프리슬란트 주와 노스 홀란드를 연결하고 거대한 인공 민물호수인 에이셀미어를 볼 수 있는 폐쇄된 제방입니다. 네덜란드의 역사적 기록에 따르면 중세시대 한 세기에 서너 번 정도의 대홍수가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을 지키기 위해 시작한 육중한 대제방은 오늘날까지 네덜란드 지역을 안전하게 지켜주며 있는 든든한 버팀목이 되었습니다. 아프슬라위트다이크 제방의 길이는 32km이며 매우 긴 제방을 갖고 있어서 네덜란드를 대표하고 있습니다.


유명한 운하 시스템

유명한 운하 시스템을 갖춘 네덜란드
유명한 운하 시스템을 갖춘 네덜란드


네덜란드에는 거의 모든 국가에 걸쳐 운영되는 광범위한 운하 시스템이 있습니다. 그 중 북해 운하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과 서부 북해연안의 에이마위던(Ijmuiden)을 잇는 운하로 길이는 25km일 정도로 긴 편에 속합니다. 이 북해 운하는 암스테르담 항과 북해를 왕복하는 선박들이 기항할 수 있도록 1865년부터 1876년까지 건설되었습니다. 네덜란드 서부의 지하수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은 북해 운하의 종점인 에이마위던(IJmuiden)에는 갑문과 유럽 최대 규모인 펌프시설이 있기 때문입니다.

 

암스테르담과 독일을 잇고 위트레흐트까지 확대되어 여러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며 있는 메르베데 운하는 1895년 개통 되었으며, 4,000t급 선박이 루르 지방까지 항해할 수 있을 만큼 거대하며, 틸에서 발강, 바이크바이뒤르스테데에서 레크강까지 연결됨으로써 네덜란드의 가장 큰 운하로 1952년 완공되었습니다. 암스테르담 라인 운하(Amsterdam-Rhein Canal)는 길이는 약 80km이고, 네덜란드와 암스테르담 라인강의 하류인 레크강과 발강을 연결하는 운하입니다.



기후와 식생이 여러가지 네덜란드


네덜란드의 기후는 서안해양성기후에 속하며, 북위 50∼53°의 고위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멕시코난류의 영향으로 기후는 비교적 따뜻한 편에 속하고 있습니다. 위도가 높기 때문에 태양이 구름, 안개 등에 가려지지 않고 햇빛을 그대로 받을 수 있는 일조시간대는 여름(6월)이 새벽 4시∼저녁 21시까지, 겨울(12월)이 8시 30분∼16시 30분까지입니다. 국민 전체가 6월이 되면 대부분 휴가를 즐기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네덜란드는 스페인과 비슷하게 자연식생이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대표하는 야생동물도 거의 없습니다. 네덜란드 겨울인 1월의 기온을 살펴보면 평균기온 2.7℃이고, 여름철인 7월의 평균기온 14.7℃입니다. 비교적 안개가 많고, 1년 내내 강한 서풍이 불어와 풍력발전이 다른 나라에 비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8,000개 이상의 풍차를 회전시켜 에너지를 얻고 있습니다. 하지만 오늘날 다른 에너지원의 개발로 인해서 풍차는 1,000개 정도만이 남아있으며 이 풍차는 네덜란드를 떠올리는 대표 관광지로 사람들의 발길을 이끌고 있습니다.


네덜란드의 연평균강수량은 712mm 정도이며, 특히나 여름·가을에 강우량이 많아 이 시기에 네덜란드를 관광하는 것은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강수량이 워낙 많으므로 감자·사탕무 재배에 적당하지만, 봄에는 건조한 편이기 때문에 작물의 성장이 빠르게 이뤄지지 못하고 있으므로 봄에 농사가 활발하게 이뤄지지 않습니다.



자연경관이 아름다운 네덜란드


국토의 대부분이 홍적세 빙하기에 형성된 지역에 속하며 이것이 라인삼각주의 형성을 촉진시킨 요인이 되었다. 라인삼각주는 남부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며, 북해에 면하는 삼각주 지대인 노르트홀란트주와 자위트홀란트주에는 배수로·제방·풍차·양수장·수문 등으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폴더(polder:네덜란드의 해안 간척지) 경관이 나타난다. 폴더의 크기는 2∼3ha에서 2,000∼3,000ha까지 다양하다.


네덜란드는 라인강·뫼즈강·발강(waal river)의 3대 하천 하류에 걸쳐있는 저지대 국가이다. 동부와 남단부에 약간의 구릉지가 있으며 남동단의 최고부가 322.5m에 불과하다. 낮은 저지대를 오랜 시기에 걸쳐 간척한 결과 전국토의 13%가 해발고도 1m 이하이고, 25%가 해면보다 낮으며, 최저부는 해면 아래 6.7m나 된다. 전국토의 28%가 경지이고 초원은 25%, 산림지대는 8%에 불과하다.


사질토양이 대부분인 동부·남부·중부의 고지대는 라인강·뫼즈강·발강의 3개 하천 지류로 분할된다. 북동부의 드렌터주와 흐로닝언주, 남동부의 림뷔르흐주에는 빙하시대에 형성된 이탄층(泥炭層)이 나타난다. 서해안의 사취는 6,000년 전 영국해협의 해류가 북해에 부딪혀 형성되었기 때문에, 북부·서부의 연안지방에는 해성점토층(海成粘土層)이, 하천유역에는 하성점토층(河成粘土層)이 많고, 나무와 돌은 거의 없다. 대개 이들 층의 점토를 재료로 하는 벽돌집을 짓는다.




댓글